파이썬 기초 문법 소개
1. 변수와 데이터 타입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 언어입니다. 즉, 변수에 데이터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변수는 선언 시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을 추론합니다. 예를 들어, 숫자를 저장하려면 숫자를 변수에 할당하고, 문자열을 저장하려면 따옴표로 묶은 문자열을 할당하면 됩니다.
파이썬의 주요 데이터 타입에는 int (정수), float (실수), str (문자열), bool (불린 값), list (리스트), tuple (튜플), dict (딕셔너리) 등이 있습니다.
2. 연산자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는 크게 산술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산술 연산자: +, -, *, /, //(몫), %(나머지), **(지수)
- 비교 연산자: == (같다), != (같지 않다), <, >, <=, >=
- 논리 연산자: and, or, not
이 외에도 다양한 연산자가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계산과 조건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3. 조건문
파이썬에서 조건문을 사용하면 주어진 조건에 맞는 코드 블록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if, elif, else 키워드를 사용하여 조건을 판단합니다. 조건문은 조건이 참일 때만 실행되며, 여러 조건을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반복문
반복문은 주어진 조건이 참일 때 계속해서 실행되는 코드 블록을 작성할 때 사용합니다. 파이썬에서는 for 반복문과 while 반복문을 제공합니다.
- for 반복문: 리스트나 튜플과 같은 시퀀스 자료형의 각 요소를 하나씩 처리합니다.
- while 반복문: 주어진 조건이 참인 동안 계속해서 반복됩니다.
반복문을 사용하면 특정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을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5. 함수
함수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 블록입니다. 함수는 한 번 정의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 정의는 def 키워드로 시작하며, 함수에 인자를 전달하거나 결과를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
6.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파이썬에서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구조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입니다.
- 리스트: 순서가 있는 변경 가능한 자료형으로, 여러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는 대괄호 []로 표시됩니다.
- 튜플: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변경할 수 없는 자료형입니다. 소괄호 ()로 표시됩니다.
- 딕셔너리: 키와 값으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중괄호 {}를 사용합니다. 키와 값은 :로 구분됩니다.
이 자료형들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조작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7. 예외 처리
파이썬에서 예외 처리는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예외 처리는 try, except 블록을 사용하여 구현합니다. 예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코드를 try 블록에 넣고, 오류가 발생했을 때 처리할 방법을 except 블록에 정의합니다.
8. 클래스와 객체
파이썬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을 지원합니다. 클래스는 객체를 만들기 위한 템플릿 역할을 하며,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입니다. 클래스를 정의할 때 class 키워드를 사용하고, 클래스 내부에서 메소드(함수)와 속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9. 모듈과 패키지
파이썬은 모듈과 패키지를 사용하여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모듈은 특정 기능을 구현한 파이썬 파일이며, 패키지는 여러 모듈을 묶어 놓은 디렉터리입니다. import 키워드를 사용하여 다른 모듈이나 패키지를 코드에 포함시킬 수 있습니다.
10. 파일 입출력
파이썬에서 파일 입출력을 통해 외부 파일과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습니다. 파일을 열 때는 open() 함수를 사용하며, 읽기 모드(r), 쓰기 모드(w), 추가 모드(a)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파일을 다 쓴 후에는 반드시 close() 함수를 호출하여 파일을 닫아야 합니다.